아브라함 평원 전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브라함 평원 전투는 1759년 7년 전쟁 중 북아메리카에서 벌어진 전투로, 영국군이 프랑스군을 격파하고 퀘벡을 점령하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영국군은 제임스 울프의 지휘 하에 앙스 오 풀롱에 상륙하여 몽칼름이 이끄는 프랑스군을 기습했다. 전투 결과 울프와 몽칼름 모두 전사했고, 프랑스군은 패배하여 누벨프랑스에 대한 지배력을 상실했다. 이 전투는 대영 제국의 확장과 프랑스 식민 제국의 몰락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현재 아브라함 평원은 캐나다의 국립 도시 공원으로 보존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59년 9월 - 호이어스베르다 전투
호이어스베르다 전투는 7년 전쟁 중 프로이센의 하인리히 공자가 호이어스베르다 근처에서 신성 로마 제국군을 기습하여 승리한 전투로, 하인리히 공은 기만 작전으로 오스트리아군을 속여 제국군을 격파하고 폰 다운 원수의 퇴각을 이끌어냈다. - 그레이트브리튼 왕국이 참가한 전투 - 데팅겐 전투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 중 영국, 오스트리아, 하노버 연합군이 프랑스군과 데팅겐에서 벌인 전투는 연합군의 승리로 끝났지만 전략적 성과는 미미했으며, 영국 국왕 조지 2세가 직접 지휘한 이 전투는 헨델의 작품으로 기념되었고 유럽의 정치적 상황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사건으로 평가된다. - 그레이트브리튼 왕국이 참가한 전투 - 알메나라 전투
알메나라 전투는 1710년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중 카탈루냐에서 벌어진 전투로, 동맹군이 스페인군을 격파하여 아라곤으로 퇴각하게 한 전투이다. - 프렌치 인디언 전쟁의 전투 - 윌리엄 헨리 요새
윌리엄 헨리 요새는 프랑스-인디언 전쟁 중 영국군이 건설한 뉴욕주 조지 호수 남쪽 요새로, 프랑스 요새 공격 전초기지이자 뉴욕-몬트리올 수로 요충지였으나, 프랑스군 공격, 항복, 학살 사건으로 알려졌으며, 복제 요새 재건 후 영화 배경으로도 등장했다. - 프렌치 인디언 전쟁의 전투 - 윌리엄 헨리 요새 전투
윌리엄 헨리 요새 전투는 1757년 프렌치 인디언 전쟁 중 몽칼름이 이끄는 프랑스군과 원주민 연합군이 윌리엄 헨리 요새를 점령한 전투로, 항복한 영국군의 철수 과정에서 발생한 원주민들의 학살과 소설 《마지막 모히칸》으로 알려져 있으며, 프랑스군은 요새 파괴 후 철수하여 전쟁 전략에 영향을 주었다.
아브라함 평원 전투 - [전쟁]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명칭 | 아브라함 평원 전투 (Battle of the Plains of Abraham) |
다른 명칭 | 에이브러햄 평원 전투 제1차 퀘벡 전투 (Premiere bataille de Quebec) |
프랑스어 명칭 | Bataille des Plaines d'Abraham |
전투 정보 | |
일부 | 프렌치 인디언 전쟁, 7년 전쟁 |
![]() | |
날짜 | 1759년 9월 13일 |
장소 | 퀘벡 시 근교, 아브라함 평원 |
결과 | 영국군의 승리 |
영토 변경 | 파리 조약에 따라 퀘벡과 루이지애나 일부가 영국령이 됨 |
교전 세력 | |
교전국 1 | 그레이트브리튼 왕국 |
교전국 1-1 | 영국령 아메리카 |
교전국 2-1 | 프랑스령 캐나다 |
교전국 2-2 | 미크마크족, 말리시트족, 아베나키족, 포타와토미족, 오타와족, 와이언도트족 |
지휘관 | |
지휘관 1 | 제임스 울프 |
지휘관 1-1 | 조지 타운젠드 |
지휘관 1-2 | 로버트 멍크턴 |
지휘관 1-3 | 존 녹스 |
지휘관 1-4 | 찰스 손더스 |
지휘관 1-5 | 윌리엄 하우 |
지휘관 1-6 | 제임스 머리 |
지휘관 2 | 루이조제프 드 몽칼름 |
지휘관 2-1 | 프랑수아 가스통 드 레비 |
지휘관 2-2 | 루이 앙투안 드 부갱빌 |
지휘관 2-3 | 루이 드 베르고르 |
지휘관 2-4 | 미셸 랑글라드 |
지휘관 2-5 | 로슈 드 라메제 |
병력 규모 | |
병력 1 | 정규군 4,400명, 식민지 레인저 |
병력 2 | 총 3,400명 |
병력 2-1 | 정규군 1,900명 |
병력 2-2 | 식민지 민병대 및 원주민 1,500명 |
사상자 및 피해 | |
사상자 1 | 전사 58명, 부상 600명 |
사상자 2 | 전사 116명, 부상 600명 |
포로 | 350명 |
2. 역사적 배경
7년 전쟁은 1756년부터 1763년까지 유럽 국가들 사이에 벌어진 국제 분쟁으로, 유럽뿐만 아니라 북아메리카, 인도 등 식민지에서도 치열하게 전개되었다. 특히 북아메리카에서는 영국과 프랑스가 식민지 패권을 두고 프렌치 인디언 전쟁을 벌였다.[142]
1758년을 기점으로 북아메리카 전역은 영국군에게 유리하게 전개되었다. 영국군은 루이부르 요새와 프롱트낵 요새를 함락시키며 프랑스군을 압박했고, 일부 아메리카 원주민 부족들이 영국과 강화를 맺으면서 프랑스군은 더욱 불리한 상황에 놓였다.[142] 프랑스 지도부는 영국의 공세에 당황했지만, 퀘벡은 여전히 방어할 수 있다고 믿었다. 그러나 1759년, 영국군은 세 방향에서 퀘벡을 공격할 준비를 하고 있었다.[142]
다음은 1758년부터 1759년까지 북아메리카 북동부 지역에서 영국군과 프랑스군 사이에 있었던 주요 사건들을 정리한 표이다.
연도 | 사건 | 결과 |
---|---|---|
1758년 | 카리용 전투 | 프랑스군 승리, 영국군 패배 |
1758년 8월 | 루이부르 요새 포위 | 영국군 승리, 캐나다 대서양 연안 장악, 퀘벡 공격 해상로 확보 |
1758년 8월 | 프롱트낙 요새 함락 | 영국군 승리, 프랑스군 오하이오 계곡 보급로 차단 |
1759년 | 영국군의 퀘벡 공격 준비 | 영국군, 퀘벡 공격을 위한 3방향 공격 준비 |
영국군과 프랑스군은 퀘벡을 사이에 두고 전력을 집중하며 대치하였고, 7월 31일에는 보포르 전투가 벌어졌으며, 이 전투에서 프랑스군은 몽모랑시 폭포에서 영국군을 상대로 승리하였다.[151]
2. 1. 프랑스의 상황
7년 전쟁 후반인 1758년부터 1759년까지 북아메리카 북동부에서 프랑스군과 프랑스 식민지는 영국군의 새로운 전력에 굴복했다. 1758년 카리용 전투에서 패배한 후, 영국은 8월에 루이부르 요새 포위에 나서 캐나다 대서양 연안을 영국의 손에 넣고, 퀘벡 공격의 거점이 될 해로를 열었다. 같은 8월에 포트 프롱트낙이 영국에 함락되면서 오하이오 영토로 행군 중이던 프랑스 보급부대가 피해를 입었다. 프랑스는 부대를 철수해야 했다. 영국의 승리로 프랑스 지휘관, 특히 총독 드 보드레이유와 장군 몽칼름은 불안감을 느꼈지만, 퀘벡은 아직 방어가 가능했다.[142]프랑스 본국의 지원 부족, 몽칼름 장군과 보드레이유 총독 간의 갈등[142], 그리고 누벨프랑스 내부의 경제적, 군사적 어려움은 프랑스군의 사기를 저하시켰다. 특히 영국 해군은 세인트로렌스 강을 완전히 제압하지는 못했지만, 프랑스 측 항구를 성공적으로 봉쇄하여[155] 프랑스에 대한 보급품 지원을 감소시켰다.
2. 2. 영국의 상황
7년 전쟁 기간 후반인 1758년부터 1759년에 걸쳐, 북아메리카 북동부의 프랑스군과 프랑스 식민지는 영국군의 새로운 전력 앞에 굴복해 갔다. 1758년 카리용 전투에서 패퇴한 이후, 영국군은 8월에 루이부르 포위를 감행하여, 캐나다 대서양 연안을 영국의 손에 넣었으며, 퀘벡에 대한 공격의 거점이 되는 해로를 열었다.[142] 같은 8월에 프롱트낵 요새가 영국군의 손에 떨어지고, 오하이오 계곡에 행군 중인 프랑스 보급 부대가 희생되었다.제임스 울프는 12,000명의 병력을 이끌기를 기대했지만, 그가 맡은 병력은 약 400명의 장교와 7,000명의 정규군, 300명의 포병이었다.[143] 울프의 부대는 찰스 손더스 제독이 이끄는 함대 49척의 배와 140척의 소형 선박 함대의 지원을 받았다.
함대가 퀘벡에 접근하기 위한 준비로서 제임스 쿡이 세인트로렌스강 측량에 들어갔다. 쿡의 배는 수로를 조사하고, 함대를 안내하면서 강을 거슬러 올라온 최초의 배들 중 하나였다. 결국 울프와 그의 병력들은 6월 28일에 오를레앙 섬에 상륙했다.[144]

프랑스군은 7척의 화선을 하류로 보내 상륙을 방해하려고 했지만, 배는 너무 빨리 불타버렸고, 롱보트를 탄 영국 선원들은 함대로 다가오는 불 붙은 배를 제거할 수 있었다.[144]
이러한 공격으로 인해 프랑스군에 지원될 수도 있는 보급품 분량을 확실히 감소시켰고, 특히 영국 해군은 세인트 로렌스 강을 완전히 통제하지는 못했지만, 프랑스 측의 항구를 성공적으로 봉쇄하고 있었다.[155]
3. 보포르 전투 (몽모렌시 전투)
1759년 7월 31일, 울프 부대가 북쪽 해안에 상륙하면서 보포르 전투 (몽모랑시 전투)가 시작되었다. 약 3,500명의 부대가 격렬한 포격을 받으면서 상륙했다.[151] 루이스부르 척탄병 부대는 해변에 도착하여 프랑스 진지에 흩어져 공격을 가했지만, 그곳에도 포화가 쏟아졌다. 이 전투는 폭풍과 뇌우로 중단되었고, 울프는 약 450명의 부상자를 내고 부대를 철수시켰다. 프랑스군의 부상자는 60명이었다.[151]
프랑스 장교 일부는 몽모랑시에서의 패배가 영국에게 마지막 공격이 될 것이라고 생각했다. 보드리유는 "나는 퀘벡에 대해 아무런 걱정도 느끼지 않았다. 확실히 울프는 아무런 진전도 없을 것이다… 그는 최상의 병사 약 500명을 잃는 것에 만족했다"라고 기록했다. 보드리유는 며칠 안에 새로운 공격이 있을 것이라고 예언했다.[152] 다른 장교들은 군사 행동이 이제 끝났다고 생각했다.[153]
이 전투가 끝난 후, 울프는 몽칼름의 수비 전술에 대응하여 미국 육군 레인저 부대와 함께 세인트로렌스 만을 따라 작은 프랑스 식민지를 공격하고 파괴했다. 약 1,400채의 석조 주택과 저택이 파괴되었고, 많은 정착민이 희생되었다. 이 공격은 몽칼름 군을 성채에서 떼어내려는 시도였지만 실패했다.[154] 그러나 이 공격으로 프랑스에 대한 원군을 줄일 수 있었고, 영국 해군은 세인트로렌스 강을 완전히 제압하지는 못했지만, 프랑스 측 항구를 봉쇄할 수 있었다.[155]
4. 전투 준비
여름 동안 계속된 포위 공격으로 영국군 막사에는 질병이 퍼져 있었다. 8월에는 제임스 울프도 병에 걸려 누웠고, 가뜩이나 낮았던 영국군의 사기는 더욱 떨어졌다.[156] 너무 많은 병력이 병원 신세를 지고 있었기 때문에, 영국군의 전투 병력은 급감했으며, 울프 자신도 9월 말까지 새로운 공격을 해야 한다고 느꼈다.[157]
8월 말, 울프는 퀘벡 시내 세인트로렌스 강 상류에 상륙하기로 결정했다. 이 작전이 성공하면 몽칼름을 끌어낼 수 있고, 세인트로렌스 강 북쪽 해안의 영국군이 몬트리올로 가는 보급선을 차단할 수 있을 것이었다.[159] 최초 상륙 예정지는 세인트로렌스 강 상류 32km 지점이었으나,[160] 몽모렌시 전투의 실패를 교훈 삼아 몽칼름은 부갱빌에게 약 1,500명의 정규 부대, 200명의 기병대, 누벨프랑스에서 징집한 3,000여 명을 이끌고 영국 선박을 감시하도록 상류의 카프루즈에 파견했다. 또한 보포르 해안 방어를 강화했다. 민병대 지휘관들의 경고에도 불구하고, 몽칼름은 상류 상륙 가능성을 낮게 보았다.[161]
9월 12일, 울프는 앙소풀롱에 상륙하기로 결정했다. 앙소풀롱은 디아망 곶에서 상류로 3km 지점에 있는 만으로, 53m 높이 절벽 아래에 위치해 대포로 보호받고 있었다. 울프가 이 지점을 선택한 이유는 알려져 있지 않다. 원래 예정지는 더 상류 쪽으로, 영국군이 기지를 만들어 부갱빌 군을 타격하고 몽칼름을 평원으로 이끌어낼 수 있는 곳이었다.[162]
울프의 공격 계획은 은밀성과 기습에 달려 있었다. 밤에 소수 병력이 북쪽 해안에 상륙, 절벽을 올라 작은 길을 확보하고 주둔 부대를 제압한 후, 주력 부대(5,000명)가 절벽을 올라 고원에서 전투를 준비하는 것이었다. 이는 프랑스 방어선 내부에 군을 배치하고 강 외에는 즉각적인 퇴로를 확보하지 못하는 위험한 배치였다. 울프의 이러한 결정은 부하 경시, 질병 후유증, 아편의 영향 등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한 결과일 수 있다.[164]
캅디아망과 카프루즈 사이 방어를 맡은 부갱빌은 9월 12일 밤 캅루즈 상류에 주둔, 영국 함선들의 이동을 놓쳤다. 루이 뒤 퐁 뒤샴봉 드 베르고르가 이끄는 약 100명의 민병대가 앙소풀롱의 좁은 길을 감시했으나, 실제로는 40명 정도만 남아 있었다.[17] 피에르 드 보드뢰유 등의 우려에도 몽칼름은 "100명이면 동틀 때까지 막을 수 있다"며 무시했다.[34]
보초병들은 프랑스 보급선으로 오인하고 영국군 상륙 부대를 통과시켰다.[35] 프랑스어를 구사하는 장교가 의심을 풀었다.[36] 그러나 배들은 항로를 벗어나 많은 병사들이 길 기슭이 아닌 경사면 기슭에 도착했다. 윌리엄 하우 대령이 이끄는 24명의 자원군이 경사면을 올라 베르고르의 캠프를 점령했고, 울프는 1시간 뒤 길을 통해 평원에 도착했다.
4. 1. 영국군의 전략
여름 동안의 포위 공격으로 영국군 진영에는 질병이 퍼져 있었다. 8월에는 제임스 울프도 병에 걸려 사기가 저하되었다.[156] 많은 병력이 병원 신세를 지면서 전투 병력이 감소했고, 울프는 9월 말까지 새로운 공격을 해야 한다고 느꼈다.[157] 몽칼름의 방어 태세는 계속 굳건해지고 있었기에, 울프는 좌절감을 느꼈다. 그는 어머니에게 보낸 편지에서 "몽칼름 후작은 많은 수의 형편없는 병사를 거느리고 있고, 저는 그와 싸우고 싶어하는 소수의 좋은 병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신중한 그 노인은 전투를 피하려 합니다."라고 썼다.[158]울프와 그의 부관들은 북쪽 해안 여러 곳에 상륙하는 방안을 생각했으나, 8월 말에 퀘벡 시내의 세인트로렌스 강 상류에 상륙하기로 결정했다. 이 작전이 성공하면 몽칼름은 전투를 강요받을 것이었다. 세인트로렌스 강 북쪽 해안에 영국군이 있으면 몬트리올로 가는 보급선을 차단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159] 처음에는 세인트로렌스 강 상류로 32km 떨어진 곳에 상륙할 예정이었는데,[160] 이는 프랑스군이 공격에 대비할 시간을 1~2일 줄 수 있었다. 몽모렌시 전투에서 영국군이 패배한 후, 몽칼름은 루이 앙투안 드 부겐빌에게 정규군 1,500명, 기병대 200명, 누벨프랑스에서 징집한 병력 3,000명을 주어 캡-루즈에서 영국 함선을 감시하게 했다. 또한 몽모렌시 전투에서 영국군이 퇴각한 보포르 해안의 방어를 강화했다. 그는 보포르를 급습한다고 간주하고 대비를 했다. 민병대 지휘관들이 영국군이 강 상류에 상륙할 가능성을 경고했지만, 몽칼름은 그 가능성이 낮다고 보았다.[161]
영국군은 상류로 이동하기 위한 준비를 하고 있었다. 부대는 이미 상륙함에 탑승하여 며칠 동안 세인트로렌스 강을 오르내렸다. 9월 12일, 울프는 앙스 오 풀롱에 상륙하기로 최종 결정을 내렸다. 앙스 오 풀롱은 도시 서쪽, 다이아몬드 곶에서 상류로 3km 지점에 있는 만이었다. 이곳은 53m 높이의 절벽 아래에 있었고, 대포로 보호받고 있었다. 울프가 풀롱을 선택한 이유는 알려져 있지 않다. 원래 상륙 예정지는 강 상류 쪽으로, 영국군이 거점을 만들어 부갱빌 군을 공격하고 몽칼름을 평원으로 끌어낼 수 있는 곳이었다. 조지 타운센드 준장은 "장군의 첩보에 따라 상륙 예정지에 대한 생각을 장군이 바꿨다"고 기록했다.[162] 울프는 HMS 서덜랜드에서 9월 12일 오후 8시 30분에 쓴 마지막 편지에서 다음과 같이 썼다.
울프의 공격 계획은 은밀성과 기습에 달려 있었다. 몇몇 군인이 밤에 해안 북부에 상륙하여 높은 절벽을 올라 작은 길을 확보하고, 주둔 부대를 정리하여 아군(5,000명) 대부분이 절벽을 올라 고원에서 전투를 대비해 배치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배치는 프랑스 방어선 내부에 군을 배치하고 강 외에는 즉각적인 퇴로를 확보하지 못하는 위험이 있었다. 울프가 상륙 작전을 변경한 것은 상륙의 은밀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라기보다는 부하 장병들을 경시했기 때문일 수 있다. 또한 그가 질병의 후유증으로 고통받고 있었고, 아편을 진통제로 사용했기 때문일 수도 있다.[164] 앤더슨은 울프가 선봉대가 격퇴될 것이라고 예상하고, 불명예스럽게 귀환하지 않고 당당하게 죽을 것을 예상하고 명령을 내렸다고 믿는다.[165]
4. 2. 프랑스군의 방어

여름 내내 계속된 포위 공격으로 영국군 막사에는 질병이 퍼져 있었다. 8월에는 제임스 울프도 병에 걸려 누웠고, 가뜩이나 낮았던 영국군의 사기는 더욱 떨어졌다.[156] 전투 병력이 크게 줄어 울프는 9월 말까지 새로운 공격을 해야 한다고 생각했다.[157] 몽칼름의 방어 태세는 계속 굳건해지고 있었다. 울프는 어머니에게 보낸 편지에서 "몽칼름 후작은 많은 수의 형편없는 병사를 거느린 장군이고, 나는 그와 싸우고 싶어하는 소수의 좋은 병사를 이끄는 장군이다. 그러나 신중하고 노련한 그는 전투를 피하려 한다."라고 썼다.[158] 몽칼름 역시 오랜 포위 공격에 좌절감을 표현하며, 자신과 부대원들은 옷과 군화를 신은 채 잠을 자고, 그의 말은 기습에 대비해 항상 안장이 얹혀 있었다고 했다.[158]
울프와 그의 부관들은 북쪽 해안 상륙을 위한 여러 방안을 생각하고 거부한 후, 8월 말에 퀘벡 시내의 세인트로렌스 강 상류에 상륙하기로 결정했다. 이 작전이 성공하면 몽칼름은 전투를 강요받을 것이었다. 세인트로렌스 강 북쪽 해안의 영국군은 몬트리올로 가는 보급선을 차단할 수 있기 때문이었다.[159] 처음 상륙 예정지는 세인트로렌스 강 상류 32km 지점으로 정해졌는데, 이곳은 프랑스 부대가 공격에 대비하여 1일 또는 2일 내에 병력을 보낼 수 있는 곳이었다.[160] 몽모랑시 전투에서 영국군이 패배한 것을 교훈 삼아 몽칼름은 배치를 변경했다. 부갱빌에게 약 1,500명의 정규 부대, 200명의 기병대, 누벨프랑스에서 징집한 3,000여 명을 이끌고 상류의 카프루즈에 파견하여 영국 선박이 올라가는 것을 감시하게 했다. 또한 몽모랑시 전투에서 영국군이 퇴각한 보포르 해안의 방어를 강화했다. 그는 보포르를 급습(양동작전)한다고 간주하고 대비했다. 민병대 지휘관들이 영국군이 강을 거슬러 올라가 상륙할 가능성을 경고했지만, 몽칼름은 상류로 상륙할 가능성이 높지 않다고 보았다.[161]
한편 영국군은 상류로 위험한 전개를 준비하고 있었다. 부대는 이미 상륙함에 승선하여 며칠 동안 세인트로렌스 강을 오르내리고 있었다. 9월 12일, 울프는 결국 영국군이 앙소풀롱에 상륙한다는 결정을 내렸다. 앙소풀롱은 도시 서쪽에 위치한 곳으로, 디아망 곶에서 상류로 3km 지점에 있었다. 이곳은 고원으로 이어지는 53m 높이의 절벽 아래에 있었고, 대포로 보호받고 있었다. 울프가 풀롱을 선택한 이유는 알려져 있지 않다. 당초 예정지는 영국군이 기지를 만들어 부갱빌 군을 타격하여 몽칼름을 평원으로 이끌어낼 수 있는 위치인 강의 훨씬 상류였다. 조지 타운센드는 “장군의 첩보에 따라, 상륙 예정지에 대한 생각을 장군이 바꿨다”고 기록했다.[162]
울프의 공격 계획은 은밀성과 기습에 달려 있었다. 몇몇 군인이 밤새 해안 북부에 상륙하여 높은 절벽을 올라, 작은 길을 확보하고, 그곳을 지키던 주둔 부대를 정리하여 아군(5,000명)이 절벽을 올라가 고원 위에서 전투를 대비해 배치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배치는 자신의 군을 프랑스 방어선 내부에 들어가게 해서 강 외에는 즉각적인 퇴로도 확보하지 못하는 위험한 배치였다. 울프가 상륙 작전을 이런 형태로 변경한 것은 상륙의 은밀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라기보다는 부하인 여단 병사를 경시한 데 있었을 것이다. 게다가 그가 여전히 병의 후유증으로 고통받고 있으며, 그가 진통제로 사용했던 아편의 영향일 수도 있었다.[164]
캅디아망과 카프루즈 사이의 넓은 지역 방어 임무를 맡은 부갱빌은 9월 12일 밤 캅-루즈에서 세인트로렌스 강을 올라가고 있었다. 그리고 수많은 영국 선박이 하류로 이동하는 것을 보지 못했다. 프랑스 막사에는 루이 뒤퐁 뒤샹봉 드 베르고르가 이끄는 100명의 민병대가 있었는데, 베르고는 쿨리 생-드니 강변에서 계곡으로 이어지는 란세-오-폴롱에 있는 좁은 길을 감시하는 역할을 맡았다. 이 인물은 4년 전, 보세주르 요새에서 영국군과 싸워 패배한 적이 있었다. 그러나 9월 12일 밤과 9월 13일 아침에, 시민군 병력은 겨우 40명 정도 밖에 남아 있지 않았고, 다른 사람은 모두 수확을 위해 집으로 돌아갔던 것이다.[153] 보드레이유와 다른 이들은 란세-오-포울롱이 취약해질 것을 우려하고 있었지만, 몽칼름은 100명의 병력이면 낮까지 저지시킬 수 있다고 말하면서 그들을 무시했다. 덧붙여 "적들은 양익이 있어서, 같은 날 밤에 강을 건너고, 배에서 내리고, 막힌 경사를 오르고, 벽을 기어오르고, 마지막 작전에서는 사다리를 운반해야 한다. 이렇게 할 수 없을 것이다.”라고 말했다.[166]
보초들은 그날 아침, 보트가 강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볼 수 있었지만, 베르고에게 알리지도 못하고 변경된 계획으로 그날 밤 통과할 프랑스군의 보급함이 물자를 수송하는 것이라고 예상했다. 영국군 선봉 부대가 탄 보트가 검문을 받았을 때, 78연대 프레이저 하이랜더스 소속의 프랑스어를 하는 장교인 프레이저 대위 또는 도널드 맥도널드 대위는 의심을 피해 유창한 프랑스어로 검문에 응했다.[167] 그러나 보트는 기지로 통하는 길목에 상륙하지 못하고, 경로를 약간 벗어나 표류하게 되었다. 많은 병사들은 기지의 경사로에 상륙을 했다. 윌리엄 하우 대령이 이끄는 24명의 자원병은 착검을 한 채 길을 따라 배치되어 있는 감시병을 제거하러 파견되었다. 그리고 경사를 올라 뒤쪽에서 베고르의 진지로 다가가 빠르게 점령하기 위한 계책이었다. 울프는 1시간 후 평원으로 올라가는 쉬운 길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을 때 뒤를 따랐다. 그리하여 아브라함 평원에 해가 뜰 무렵에는 울프의 영국군은 절벽의 평원에 탄탄한 교두보를 마련했다.[168]
5. 아브라함 평원 전투
아브라함 평원은 베르고 막사 외에는 방어가 허술했다. 영국군 상륙 보고를 받은 몽칼름의 보좌관은 이를 대수롭지 않게 여겼다.[170] 몽칼름은 영국군의 병력 전개에 당황하여 경솔한 결정을 내렸다. 그는 부갱빌의 증원군을 기다리지 않고 울프의 군대와 직접 대결하기로 했다.[172] 몽칼름은 포병 장교 몽벨리아르에게 "적은 참호를 파고 기다리고 있으며, 대포도 2문을 가지고 있다. 시간을 주면 우리 병력으로는 그들을 공격할 수 없을 것이다"라며 군사 행동의 불가피성을 설명했다.[173]
5. 1. 양측 군대의 배치
1759년 9월 13일 아침, 영국군은 세인트로렌스 강을 등지고 1열로 정렬했다. 오른쪽은 강을 따라 절벽에 붙었고, 왼쪽은 세인트찰스 강 상단의 깊은 숲 옆에 위치하여 평원을 가로질러 펼쳐졌다. 영국군은 약 3,300여 명이 얕은 말굽 모양으로 포진했으며, 주력 총병대는 대략 1km 길이였다. 평원 전체를 덮기 위해, 제임스 울프는 병사들을 기존의 3열 방식 대신 2열로 배열했다. 좌익에서는 타운센드 휘하의 연대들이 덤불 속의 민병대와 총격전을 벌여 몇 채의 집과 방앗간을 점령해 전선을 고정시켰다. 프랑스군은 영국군을 한 집에서 몰아냈지만 격퇴당했고, 후퇴할 때 가옥 몇 채에 불을 붙여 영국군의 손에 들어가지 못하게 했다. 이 화재로 인한 연기가 영국군 좌익을 은폐시켰고, 이것이 몽칼름에게 영국군의 포진을 혼란스럽게 했을 것이다.[175] 영국군 병사들은 프랑스군을 기다렸고, 격렬한 화재로 인해 울프는 병사들에게 크게 자란 잔디와 관목 숲 사이에 엎드리도록 지시했다.[176]프랑스 군대가 보포르에서 도착했을 때, 몽칼름은 급습만이 영국군을 물리칠 수 있다고 판단했다. 그는 즉시 퀘벡 인근에서 징집한 병력을 배치하고, 보포르 해안으로부터 오고 있는 증원군을 기다리지 않고 즉각적인 공격을 준비했다. 약 3,500명의 병력을 최정예 정규군은 3열로, 다른 병사는 6열로, 가장 취약한 연대는 종대로 포진했다. 오전 10시경, 몽칼름은 검은 말에 올라타고 검을 뽑아 휘두르며 병사들의 사기를 고취시키며, 영국군 대열에 총진격을 명령했다.[177]
몽칼름은 유럽식 교육을 받은 군 지도자였기 때문에, 연대와 병력이 정확한 명령에 따라 움직이는 대규모 전투를 선호했다. 이러한 군사 행동은 잘 훈련된 군대를 필요로 했다. 그러나 그의 프랑스 본국 군대는 그러한 형식적인 전투에 숙련되어 있었지만, 병력들 중에는 군사 경험이 없는 민병대가 많아졌고, 그들의 재능은 숲 속의 게릴라전에서나 발휘되는 것이었다. 그들은 명령보다 빨리 사격을 했고, 재장전을 할 때는 바닥에 총알을 떨어뜨렸다. 그리하여 좁은 곳에서의 집중 사격에는 부적합했다.[178]
영국군은 약 8,000명의 병력을 지휘한 제임스 울프의 지휘를 받았으며, 이 중 4,500명의 병력과 포병 1문만이 아브라함 평원으로 투입되었다.[32][33]
'''영국 육군'''
구분 | 부대 |
---|---|
우익 측면 | 제35 보병 연대 |
예비대 | 제48 보병 연대 |
후방 경비 | 경보병(제80 경무장 보병 연대) |
주요 부대 - 제임스 울프 휘하 | |
루이스버그 척탄병 (3개 중대), 제22 보병 연대 (척탄병 및 경보병 중대만), 제40 보병 연대 (척탄병 및 경보병 중대만), 제45 보병 연대 | |
우익 - 로버트 몽크턴 준장 휘하 | |
제28 보병 연대, 제43 보병 연대, 왕립 포병대에서 제공한 경야전포 1문 | |
중앙 - 제임스 머레이 준장 휘하 | |
제47 보병 연대, 제58 보병 연대 (상륙 지점도 경비), 제78(프레이저) 하이랜더스, 왕립 포병대에서 제공한 경야전포 1문 | |
좌익 측면 - 조지 타운젠드 준장 휘하 | |
제15 보병 연대, 제2대대, 제60(왕립 아메리카) 보병 연대, 제3대대, 제60(왕립 아메리카) 보병 연대 | |
식민지 병력 | |
경보병 (제80 경무장 보병 연대) (후방 경비), 미국 레인저스 6개 중대 |
5. 2. 전투의 전개
영국군이 퀘벡 시 근처에 상륙한 후, 프랑스군은 혼란에 빠졌다. 몽칼름 장군은 영국군의 배치에 놀라 성급하게 대응했다.[169][170][171][41] 그는 증원군을 기다리지 않고 즉시 공격을 결정했다.[172][173][42][43] 몽칼름은 "적은 참호를 구축하고 있으며, 이미 두 개의 대포를 가지고 있다. 그들이 자리를 잡을 시간을 주면, 우리가 가진 병력으로는 그들을 공격할 수 없을 것이다."라고 말했다.[173][43]몽칼름은 13,390명의 병력을 보유했지만, 대부분 실전 경험이 부족했다.[174] 반면 영국군은 7,700명으로 대부분 정규군이었다. 1759년 9월 13일 아침, 영국군은 얕은 말굽 모양으로 포진했고, 프랑스군은 퀘벡과 보포르에서 접근했다.[174] 캐나다 민병대와 원주민 저격병들은 영국군 좌익을 공격했고, 프랑스 정규군은 뷰포르와 퀘벡에서 접근했다.[174]

몽칼름은 즉각적인 공격을 명령했고, 프랑스군은 3,500명의 병력을 3열로 배치했다.[177][48] 오전 10시경, 몽칼름은 검은 말을 타고 병사들을 격려하며 영국군 전열을 향해 진격했다.[177][48] 그러나 프랑스군은 민병대의 비효율적인 사격으로 인해 영국군의 집중 사격에 큰 피해를 입었다.[178][49]

영국군은 울프 장군이 고안한 사격 전술을 사용했다.[179] 프랑스군이 접근하자 영국군은 근거리에서 일제 사격을 가했고, 프랑스군은 큰 피해를 입고 퇴각했다.[180][52] 울프 장군은 전투 중 총상을 입고 사망했고,[181][182][183][53][54][55] 몽칼름 장군도 부상을 입고 다음 날 사망했다.[187][59]
영국군은 혼란 속에서도 프랑스군을 추격했지만, 프랑스군의 저항과 부갱빌 부대의 접근으로 어려움을 겪었다.[184][185][186][56][57][58] 결국 부갱빌은 퇴각했고, 몽칼름 부대의 남은 병력도 세인트찰스 강까지 물러났다.[186][58] 양측은 비슷한 수의 사상자를 냈지만, 프랑스군의 패배로 퀘벡은 영국군에게 함락되었다.[189][130]
5. 3. 전투 결과
영국군과 프랑스군은 비슷한 수의 사상자를 냈다. 프랑스군은 644명에서 716명 사이의 전사상자를 냈고, 영국군은 658명이 죽거나 다쳤다.[189] 이 중에는 영국군 지휘관 울프가 포함되어 있었는데, 그는 전투 중에 가슴 등에 총을 맞아 치명상을 입고 현장에서 즉사했다.[181][182][183] 프랑스군 지휘관 몽칼름 역시 전투 중 하복부와 허벅지에 총상을 입고 다음날 아침 사망했다.[187]영국군의 승리에 결정적인 요인은 울프가 고안한 새로운 사격 전술이었다.[179] 영국군은 프랑스군이 접근할 때까지 사격을 자제하다가 근거리에서 일제 사격을 가하여 프랑스군에게 큰 타격을 입혔다.[180] 반면, 프랑스군은 무질서한 사격으로 영국군에게 큰 피해를 주지 못했다.[179]
전투 후, 영국군은 혼란에 빠진 프랑스군을 추격했지만, 부갱빌의 부대가 도착하자 후퇴했다.[186] 이 전투로 퀘벡 시는 영국군에게 함락되었고, 이는 7년 전쟁에서 프랑스의 패배로 이어지는 중요한 사건이 되었다.
6. 전투의 영향
아브라함 평원 전투 직후, 프랑스군은 혼란에 빠졌다. 보드뢰유 총독은 프랑스 정부에 보낸 서한에서 패배의 책임을 사망한 몽칼름에게 돌렸다.[190] 보드뢰유는 퀘벡과 보포르 해안을 포기하고, 군대를 서쪽으로 이동시켜 부갱빌과 합류하도록 했으며, 장-밥티스트 니콜라 로크 드 라메제이에게 퀘벡 주둔군 지휘권을 넘겼다.[191]
한편, 영국군은 타운센드가 처음 지휘를 맡았고, 이후 머리가 지휘권을 넘겨받았다. 손더스의 함대와 함께 영국군은 도시를 포위했다. 며칠 뒤인 9월 18일, 람제이, 타운센드, 손더스는 퀘벡 항복 조약에 서명하고 퀘벡의 통제권을 영국에 넘겼다.[192] 남은 프랑스 군대는 자크-카르티에 강 서쪽에 진을 쳤다. 영국 해군은 유빙에 갇히기 전에 세인트 로렌스 강을 떠나야 했다.
이듬해 4월, 강의 얼음이 녹기 전, 몽칼름의 뒤를 이어 프랑스군 사령관이 된 세발리에 드 레비는 7,000명의 병력을 이끌고 퀘벡으로 진군했다. 제임스 머리가 이끌던 영국군은 혹독한 겨울을 보내며 괴혈병으로 인해 주둔군이 4,000명으로 줄어든 상태였다. 1760년 4월 28일, 레비 백작의 군대는 생트푸아 전투에서 영국군을 상대로 승리했다. 이 전투는 아브라함 평원 전투보다 더 많은 사상자를 냈는데, 프랑스군은 850명, 영국군은 1,100명의 사상자를 냈다. 영국군은 패배했지만 퀘벡 성벽 안으로 퇴각하여 포위 공격을 받았다. 프랑스군은 대포와 탄약이 부족했고, 영국군은 요새를 강화했기 때문에 퀘벡을 점령할 수 없었다. 양측은 유럽에서 증원군이 오기를 기다렸다. 5월 중순, 처음 도착한 배는 영국 함대의 일부였으며, 이들은 뇌빌 전투에서 레비의 지원 함대를 격파했다.[178][193] 키브롱만 해전에서 영국 해군이 프랑스 함대를 격파하면서, 프랑스는 누벨프랑스에 예비군을 보낼 수 없게 되었다.[194] 1760년 봄, 프랑스군의 퀘벡 공세 성공은 프랑스 함대의 신병 및 보급품 파견에 달려 있었다.[194]
그해 9월, 몬트리올에서 레비와 2,000명의 프랑스군은 17,000명의 영국군 및 미국 군대와 대치했다. 1760년 9월 8일, 프랑스는 항복했고 영국은 몬트리올을 점령했다. 1763년 파리 조약이 체결되어 전쟁이 종식되었고, 미시시피강과 애팔래치아산맥 사이의 캐나다와 프랑스령 루이지애나 동부를 포함한 프랑스 영토 일부가 그레이트 브리튼 왕국에 양도되었다.
6. 1. 장기적 영향
아브라함 평원 전투는 18세기 중반 북아메리카에서 벌어진 프랑스-인디언 전쟁의 주요 전투 중 하나로, 이 전투의 결과는 단순한 군사적 승패를 넘어 광범위하고 장기적인 영향을 미쳤다.먼저, 이 전투는 대영 제국의 북아메리카 지배를 확고히 하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영국군은 퀘벡을 점령하고, 이듬해 생트푸아 전투에서 프랑스군에게 승리한 후, 몬트리올까지 점령하면서 뉴프랑스 전체를 장악했다. 1763년 파리 조약을 통해 영국은 캐나다와 미시시피 강 동쪽의 프랑스령 루이지애나를 획득하며 북아메리카에서 광대한 영토를 확보했다. 이는 대영 제국의 식민지 확장에 있어 중요한 이정표가 되었다.
반면, 프랑스에게 이 전투는 북아메리카 식민 제국의 몰락을 알리는 신호탄이었다. 키브롱만 해전에서 프랑스 해군이 영국 해군에게 패배하면서, 프랑스는 더 이상 누벨프랑스에 지원군을 보낼 수 없게 되었다. 결국 프랑스는 파리 조약을 통해 북아메리카의 대부분의 영토를 영국에게 넘겨주어야 했다. 이로써 프랑스는 북아메리카에서 주요 식민지를 상실하고, 국제적인 영향력도 크게 약화되었다.
이 전투는 북아메리카 원주민 사회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프랑스와 동맹을 맺었던 원주민 부족들은 영국과의 관계에서 새로운 국면을 맞이해야 했다. 일부 부족은 영국과 평화 조약을 맺었지만, 다른 부족들은 영국의 지배에 저항하며 갈등을 겪기도 했다.
또한, 아브라함 평원 전투는 오늘날 캐나다의 다문화 사회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영국은 퀘벡을 점령한 후에도 프랑스계 주민들의 언어, 문화, 종교를 존중하는 정책을 펼쳤다. 이는 1774년 퀘벡법을 통해 제도적으로 보장되었으며, 오늘날 캐나다가 영어와 프랑스어를 공용어로 사용하고 다양한 문화를 포용하는 사회로 발전하는 데 중요한 기반이 되었다.
7. 유산
현재 윌리엄 하우의 병사들이 전투 당일 아침에 기어올라 간 절벽 아래의 물가는 공업용지가 되었고, 아브라함 평원 자체는 캐나다의 국립 도시 공원으로 보존되고 있다. 생트푸아 전투가 벌어졌던 전장터에는 기념비가 세워져 있다.[195]
1908년 퀘벡 식민지 300주년을 기념하여 캐나다에서 울프 - 몽칼름 두 장군을 기념하는 기념우표가 발매되었다.
2009년, 아브라함 전투 250주년을 기념하여 많은 활동들이 제안되었다.[195] 아브라함 평원 전투와 생트푸아 전투의 재현도 제안되었으나, 공공질서를 위협할 수 있다는 이유로 무산되었다. 일부 퀘벡 독립을 주장하는 단체들이 그 사건을 재현한다면 폭력사태가 있을 수도 있다는 발언을 함으로써 직간접적인 위협을 했다. 이런 재현 반대 단체들의 운동과 폭력에 대한 경고로 인해 국립 배틀필즈 위원회는 그 행사를 취소했다.[196]
250주년 기념행사에 제안된 또 다른 기념행사로는 ''뮬랭 아 파롤''(moulin à paroles|말의 풍차프랑스어)이 있었다. 수천 명의 사람들이 FLQ 선언문을 포함하여 퀘벡 역사에서 중요한 140개의 텍스트를 낭송하기 위해 아브라함 평원에 모였다. 그 문서를 이벤트에 포함시키자 연방주의 정치인들로부터 비난과 보이콧이 일어났고, 그 이벤트에 지원되는 정부 지원금의 일부 철회로 이어졌다. 뮬랭 아 파롤은 아무런 사건사고도 일어나지 않고 진행되었다.[197]
퀘벡 옛 시가지에서 건축을 하던 중, 포탄이 발견되었는데, 포위를 하고 있던 당시에 발사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198]
7. 1. 아브라함 평원
현재 윌리엄 하우의 병사들이 전투 당일 아침에 기어올라 간 절벽 아래의 물가는 공업용지가 되었고, 아브라함 평원 자체는 캐나다의 국립 도시 공원으로 보존되고 있다. 생트푸아 전투가 벌어졌던 전장터에는 기념비가 세워져 있다.[195]
1908년 퀘벡 식민지 300주년을 기념하여 캐나다에서 울프 - 몽칼름 두 장군을 기념하는 기념우표가 발매되었다.
2009년, 아브라함 전투 250주년을 기념하여 많은 활동들이 제안되었다.[195] 아브라함 평원 전투와 생트푸아 전투의 재현도 제안되었으나, 공공질서를 위협할 수 있다는 이유로 무산되었다. 일부 퀘벡 독립을 주장하는 단체들이 그 사건을 재현한다면 폭력사태가 있을 수도 있다는 발언을 함으로써 직간접적인 위협을 했다. 이런 재현 반대 단체들의 운동과 폭력에 대한 경고로 인해 국립 배틀필즈 위원회는 그 행사를 취소했다.[196]
250주년 기념행사에 제안된 또 다른 기념행사로는 ''뮬랭 아 파롤''(''moulin à paroles'')이 있었다. 수천 명의 사람들이 FLQ 매니페스토를 포함하여 퀘벡 역사에서 중요한 140개의 텍스트를 낭송하기 위해 아브라함 평원에 모였다. 그 문서를 이벤트에 포함시키자 연방주의 정치인들로부터 비난과 보이콧이 일어났고, 그 이벤트에 지원되는 정부 지원금의 일부 철회로 이어졌다. 뮬랭 아 파롤은 아무런 사건사고도 일어나지 않고 진행되었다.[197]
퀘벡 옛 시가지에서 건축을 하던 중, 포탄이 발견되었는데, 포위를 하고 있던 당시에 발사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198]
7. 2. 역사적 재해석
1908년, 캐나다에서 퀘벡 식민지 300주년을 기념하여 울프와 몽칼름 두 장군을 기리는 기념우표가 발행되었다.2009년, 아브라함 평원 전투 250주년을 맞아 여러 행사가 제안되었다.[195] 생트푸아 전투를 포함한 전투 재현 행사가 계획되었으나, 공공질서 위협을 이유로 취소되었다. 일부 퀘벡 독립 주장 단체들은 재현 행사가 열리면 폭력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고 위협했고, 이러한 반대 운동과 위협으로 인해 국립 배틀필즈 위원회는 행사를 취소했다.[196]
250주년 기념 행사로 제안된 또 다른 행사는 ''뮬랭 아 파롤''(moulin à paroles)이었다. 수천 명의 사람들이 아브라함 평원에 모여 1970년 FLQ 매니페스토를 포함한 퀘벡 역사에서 중요한 140개의 텍스트를 낭독했다. 이 문서가 행사에 포함되자 연방주의 정치인들의 비난과 보이콧이 이어졌고, 행사 지원금 일부가 철회되기도 했다. 그러나 뮬랭 아 파롤은 별다른 사건 없이 진행되었다.[197]
퀘벡 옛 시가지 건설 중 포탄이 발견되었는데, 이는 포위 공격 당시에 발사된 것으로 추정된다.[198]
참조
[1]
서적
Macleod
[2]
서적
Macleod
[3]
서적
[4]
웹사이트
Battle of Quebec
https://web.archive.[...]
[5]
서적
[6]
서적
[7]
서적
[8]
서적
[9]
서적
[10]
서적
[11]
서적
[12]
서적
[13]
서적
[14]
서적
[15]
서적
[16]
서적
[17]
서적
[18]
서적
[19]
서적
[20]
서적
[21]
서적
[22]
서적
[23]
서적
[24]
서적
[25]
서적
[26]
서적
[27]
서적
[28]
서적
[29]
서적
[30]
서적
[31]
서적
[32]
웹사이트
Battle of Quebec 1759
https://www.britishb[...]
2020-02-25
[33]
웹사이트
1759-09-13 – Battle of Québec – Project Seven Years War
http://www.kronoskaf[...]
2020-02-25
[34]
서적
[35]
서적
[36]
서적
[37]
서적
[38]
서적
[39]
서적
[40]
서적
[41]
서적
[42]
서적
[43]
서적
[44]
서적
[45]
서적
[46]
서적
[47]
서적
[48]
서적
[49]
서적
[50]
서적
Son of the Mountains
[51]
서적
[52]
서적
[53]
서적
[54]
서적
[55]
서적
[56]
서적
[57]
서적
Son of the Mountains
[58]
서적
[59]
서적
[60]
웹사이트
13–14 septembre 1759 – Mort de Montcalm et Wolfe
https://www.herodote[...]
2018-10-12
[61]
서적
[62]
서적
[63]
서적
[64]
서적
[65]
서적
[66]
웹사이트
Hallowed Ground
https://www.historyn[...]
2020-01-01
[67]
서적
[68]
서적
[69]
웹사이트
Official reenactors' website for the event
http://www.quebec09.[...]
[70]
웹사이트
CBC News: Organizers cancel mock Battle of the Plains of Abraham
https://www.cbc.ca/n[...]
2018-09-24
[71]
웹사이트
CBC News: Plains of Abraham reading attracts thousands
https://www.cbc.ca/n[...]
2018-09-24
[72]
뉴스
Canada: Workers find live British cannonball in Quebec
https://www.bbc.com/[...]
2017-07-15
[73]
간행물
A Collection of National English Airs, Consisting of Ancient Song, Ballad, & Dance Tunes, Interspersed with Remarks and Anecdote, and Preceded by an Essay on English Minstrelsy
[74]
웹사이트
Battle of Quebec
http://www.britishba[...]
[75]
서적
戦闘技術の歴史(3)近世編
[76]
논문
[77]
논문
[78]
논문
[79]
논문
[80]
논문
[81]
논문
[82]
논문
[83]
논문
[84]
논문
[85]
논문
[86]
논문
[87]
논문
[88]
논문
[89]
논문
[90]
논문
[91]
논문
[92]
논문
[93]
논문
[94]
논문
[95]
논문
[96]
논문
[97]
논문
[98]
논문
[99]
논문
[100]
논문
[101]
논문
[102]
논문
[103]
논문
[104]
논문
[105]
논문
[106]
서적
[107]
서적
[108]
서적
[109]
서적
[110]
서적
[111]
서적
[112]
서적
[113]
웹사이트
アブラーム平原
https://archive.is/2[...]
[114]
서적
[115]
서적
[116]
서적
[117]
서적
[118]
서적
Son of the Mountains
[119]
서적
[120]
서적
[121]
서적
[122]
서적
[123]
서적
[124]
서적
[125]
서적
Son of the Mountains
[126]
서적
[127]
서적
[128]
웹사이트
Battle of the Plains of Abraham - Québec
http://www.provinceq[...]
[129]
간행물
Press release, Commission de la capitale nationale du Québec
http://xenophongroup[...]
2007-04-26
[130]
서적
[131]
서적
[132]
서적
[133]
서적
[134]
서적
[135]
서적
[136]
뉴스
CBC News: Organizers cancel mock Battle of the Plains of Abraham
http://www.cbc.ca/ca[...]
[137]
뉴스
CBC News: Plains of Abraham reading attracts thousands
http://www.cbc.ca/ca[...]
[138]
서적
カナダ歴史紀行
筑摩書房
[139]
웹사이트
ジェームス・ウォルフ将軍 スタンプ・メイツ、切手で綴る大航海物語
http://www.k5.dion.n[...]
[140]
문서
영국의 역사이기 이기 때문에 영국식 발음을 기본으로 채택함
[141]
웹인용
퀘벡전투
http://www.britishba[...]
[142]
서적
[143]
서적
[144]
서적
[145]
서적
[146]
서적
[147]
서적
[148]
서적
[149]
서적
[150]
서적
[151]
서적
[152]
서적
[153]
서적
[154]
서적
[155]
서적
[156]
서적
[157]
서적
[158]
서적
[159]
서적
[160]
서적
[161]
서적
[162]
서적
[163]
서적
[164]
서적
[165]
서적
[166]
서적
[167]
서적
[168]
서적
[169]
서적
[170]
서적
[171]
서적
[172]
서적
[173]
서적
[174]
서적
[175]
서적
[176]
서적
[177]
서적
[178]
서적
[179]
서적
Son of the Mountains
[180]
서적
[181]
서적
[182]
서적
[183]
서적
[184]
서적
[185]
서적
Son of the Mountains
[186]
서적
[187]
서적
[188]
서적
[189]
서적
[190]
서적
[191]
서적
[192]
서적
[193]
서적
[194]
서적
[195]
웹사이트
사건의 공식 재현 웹사이트
http://www.quebec09.[...]
2017-10-14
[196]
뉴스
Organizers cancel mock Battle of the Plains of Abraham
http://www.cbc.ca/ca[...]
CBC News
[197]
뉴스
Plains of Abraham reading attracts thousands
http://www.cbc.ca/ca[...]
CBC News
[198]
뉴스
Canada: Workers find live British cannonball in Quebec
http://www.bbc.com/n[...]
BBC News
2017-07-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